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아과에서도 말하는 아기 귀지 관리법 총정리

by 해든이유 2025. 4. 2.
반응형

 

 

 

아기의 귀지는 보호막 역할을 하는 중요한 물질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귀지를 더럽다고 생각해 자주 청소하려 하지만, 소아과에서는 오히려 ‘필요 이상으로 파지 말 것’을 강조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아과 전문의들이 공통적으로 권장하는 아기 귀지 관리법을 정리해드립니다.

 

 

1. 아기 귀지, 꼭 파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대부분의 경우, 아기의 귀지는 자연스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습니다. 귀지는 먼지, 세균, 작은 이물질로부터 고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귀 안의 산도를 유지해 박테리아 번식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려는 행동은 오히려 외이도를 건조하게 만들거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귀지를 파야 하는 경우는 언제일까?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귀지 제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귀 안이 꽉 막힌 느낌이 있을 때
  • 청력이 떨어진 듯한 반응을 보일 때
  • 소아과 진료 중 의사가 귀지 제거를 권할 때
  • 귀에서 냄새가 나거나 분비물이 있는 경우

이 경우에도 집에서 무리하게 제거하지 말고 소아과 또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3. 아기 귀지 청소, 어떻게 해야 안전할까?

가정에서 아기 귀를 청소해야 할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르시기 바랍니다:

  • 귀 바깥쪽만 부드럽게 닦기: 면봉 대신, 젖은 거즈나 면 수건으로 귀 바깥 주위만 닦아주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깊숙이 넣지 않기: 절대 면봉을 귀 안으로 깊숙이 넣지 마세요. 고막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귀지를 오히려 더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습니다.
  • 목욕 후 자연 건조 유도: 목욕 후 귀 안으로 물이 들어갔다면 가볍게 닦아준 후 자연 건조를 유도하면 충분합니다.

 

4. 귀지 색깔, 건강 신호일까?

귀지의 색은 개인차가 있으며, 대부분은 정상 범주에 속합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권장합니다:

  • 검은색에 가까운 귀지 + 악취: 오래된 귀지이거나 감염 가능성
  • 진한 노란색/녹색 분비물: 외이도염 등 염증 가능성
  • 붉은색 또는 피 섞인 귀지: 외상 또는 고막 이상 가능성

귀지는 건강의 ‘경고등’ 역할을 하기도 하므로 색과 냄새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에 따르면,

“아기의 귀지는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부모의 과도한 귀 청소가 외이도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합니다.

미국 소아과학회(AAP) 또한 귀지는 자연적인 자정 작용을 하며, 대부분의 경우 방치하는 것이 최선의 관리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아기의 귀지는 그 자체로 보호막이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아기를 지키는 방어선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깔끔하게 관리하고 싶은 마음이 크겠지만, 너무 자주 귀를 손대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소아과 진료를 통해 전문가의 판단을 받으며 관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현명한 방법입니다.

 

반응형